pl/sql
-
day12 - 오라클 (PL/SQL, 커서, 명시적 커서, 묵시적 커서, 프로시저KIC/DB 오라클 2021. 7. 14. 00:33
[SQL 커서] - SQL 커서 : 오라클 서버에서 SQL 문을 실행할 때마다 처리(Parse, Execution)를 위한 메모리공간 -> SQL문을 실행했을 때 해당 SQL문 처리 정보를 저장 -> SELECT문의 결과 행 별로 특정 작업 수행 - select into 방식 -> 조회되는 행이 하나 일 때 -> 커서는 조회되는 행의 수와 상관없이 사용 - 즉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쉬에서 커서로 복사해온 후 커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(Fetch) 후속 작업을 하게 된다는 뜻. - 이 메모리 공간을 Private SQL Area한다 - SQL 커서는 크게 묵시적 커서(Implicit Cursor)와 명시적 커서(Explicit Cursor)로 나눌 수 있다. [명시적 커서]..
-
day11_3 - 오라클 (PL/SQL, RECORD Type 변수, 컬렉션, 바인드 변수, 조건문, 반복문)KIC/DB 오라클 2021. 7. 13. 02:59
[PL/SQL RECORD Type 변수] 1. TYPE type_name IS RECORD (field_declaration[, field_declaration]...); 형식 -> select 문에서 여러개의 변수를 한번에 전달 [PL/SQL Table Type 변수(컬렉션)] - 연관 배열 : 인덱스가 있는 변수의 다중 공간 - 중첩 테이블 - VARRAY [연관 배열의 주요 특징] - 연관 배열은 변수 선언 당시 채워지지 않으며 키나 값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선언에서 연관 배열을 초기화할 수 없다. - 연관 배열을 채우려면 명시적 실행 문이 필요. -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연관 배열의 크기에도 제약이 없다. 따라서 새 행이 추가됨에 따라 연관 배열이 증가하도록 행 수가 동적으로 늘..
-
day11_2 - 오라클 (PL/SQL 기본구조, 익명 블록, 작성 규칙, 주의 사항, 연산자, 변수)KIC/DB 오라클 2021. 7. 13. 02:59
[PL/SQL] -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- Procedural Language/SQL 의 약자 -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적인 요소를 거의 다 가지고 있다. - 실무에서 요구 되는 절차적인 데이터 처리를 다 할 수 있음. 특히 SQL 과 연동되어서 막강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. - 데이터 트랜잭션 처리능력이나 정보보호, 데이터에 대한 보안, 예외처리 기 능, 객체지향 등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중요한 모든 기능을 지원 - 데이터베이스 업무를 처리하기에 최적화된 언어임. [PL/SQL 기본구조] - 선언부(DECLARE), 실행부(BEGIN), 예외처리부 (EXCEPTION)로 구성됨. - Anonymous PL/SQL Block(익명블록) 과 Stored PL/SQL Block(저장된 블록) ..